본문 바로가기

소식마당/네트워크

[2013 마을공동체사업] 서울시, 22개 마을공동체사업 222억 지원

 

 

 

서울시, 22개 마을공동체사업 222억 지원
2013년 마을공동체 지원사업계획 발표
2013년 02월 05일 (화) 17:32:10 이경옥 기자 kolee@ikld.kr

서울시가 올해 22개 마을공동체사업에 총 222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이달부터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에서 연중 공모 접수를 받고 본격적인 현장 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마을공동체 본격화 ‘원년’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은 주민 의사에 따라 주민이 자발적으로 추진하는 마을공동체 성격의 단체, 모임의 신청을 받아 시가 사업을 심사하고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마을공동체 육성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하는 등 기반 조성에 주력한 데 이어 올해부터는 조성된 기반을 토대로 시민생활 현장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제들인 아이 키우는 문제, 범죄나 재난으로부터 안전문제, 일자리 문제 등을 주민들 스스로 힘을 모아 함께 풀어나가는 마을공동체가 본격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 주거유형의 58%에 달하고 있는 아파트마을공동체 사업도 본격화하기로 했다. 예컨대 주민들이 에너지 절감, 회계 투명성 개선 등을 통해 아파트관리비를 인하하는 사업을 지원하고, 아파트 텃밭이나 작은 도서관 등도 활성화해서 주민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시 각 부서 사업 이외에도 다양한 현장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업을 주민들이 제안하면 이를 심사해 지원함으로써 신축적이고 다양한 마을공동체 사업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아울러, 시는 ‘마을상담’ 제도를 도입, 의지는 있으나 마을공동체의 개념이 생소해 주저하는 주민들을 위해서는 주민제안 방법, 의제 발굴, 지원 절차 등 사업추진 전 과정을 컨설팅해준다.

주민들이 마을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도 회계처리가 현장의 가장 큰 애로사항이라는 점을 반영해 1마을현장 1회계지원을 원칙으로 ‘자치구별회계지원단’도 운영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주민들이 마을공동체 사업을 미리 알고 신청할 수 있도록 연간 사업 공모 일정도 공개했다. 마을공동체와 관련한 모든 지원은 주민들이 원하는 바를 펼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물적 요소를 뒷받침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마을 현장의 주민수요를 파악해 맞춤형으로 이뤄진다.

■ 보육·일자리창출 사업 등 지원

시는 부모커뮤니티 활성화, 공동육아 활성화 등 2개 보육사업에 총 16억원을 지원하며, ‘에너지 자립마을’, ‘안전마을 활성화’ 등 생활밀착형 마을공동체 사업에 13억원을 지원한다. 아파트 마을공동체 150여개 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며 13억원이 배정됐다. 다문화 마을공동체, 상가마을공동체, 한옥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에도 5억원이 지원된다. 이 외에도 작은도서관(748개소), 마을북카페(30개소), 마을예술창작소(23개소), 청소년 휴카페(17개소) 등의 공간이 주민사랑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운영프로그램 등에 51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마을기업’ 지원, ‘청년마을’ 활성화사업에 총 65억원이 투입된다. ‘마을기업’ 지원은 성장단계에 따라 공공성이 강한 마을기업을 선정해 공간임대보증금 또는 사업비를 지원한다. 공간임대보증금은 45개소에 최대 1억원을 5년 내 상환조건을 두고 지원하며, 사업비는 39개소를 대상으로 1년차 30개소 각 5,000만 원, 2년차 9개소 각 3,000만원을 지원한다.

또한, 마을형 청년일자리 모델을 발굴·지원해 지역기반 일자리를 창출하는 ‘청년마을’ 활성화 사업은 시범적으로 4개팀을 선정해 교육·컨설팅·멘토쉽 활동을 통한 마을일거리 사업화에 총 2억3,000만원을 지원한다.

시는 각 부서에서 지원하는 사업 이외에도 주민들의 다양한 현장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업을 주민들이 제안하면 이를 심사해서 지원할 계획이다.

이러한 사업은 ‘커뮤니티 공간운영 지원사업’과 ‘주민공동체 활동 지원 사업’ 두 가지 유형으로 구별되며 총 24억원이 투입된다.

조인동 서울혁신기획관은 “올해에는 지난해에 축적된 민·관 협력관계를 토대로 마을현장 주민수요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사업 간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칸막이를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이경옥 기자 kolee@ikld.kr